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장고
- 파이썬강의
- 프로그래밍
- 기초강의
- 플라스크
- flask
- docker
- 파이썬 장고
- C언어
- mlops
- airflow
- Django
- cpp
- 인공지능
- 파이썬
- 에어플로우 기초강의
- ADP
- 장고 기초 강의
- 도커
- 쇼핑몰예제
- 웹개발
- c
- 예제프로젝트
- c++
- 개발자취업
- Python
- 개발자
- 개발언어
- 장고 튜토리얼
- 도커 컴포즈
- Today
- Total
TITEDIOS 편한 코딩
[Django] 웹 프로그래밍에 대한 이해 - 웹의 동작 원리와 핵심 개념 본문
웹 프로그래밍은 현대 디지털 사회에서 필수적인 기술 중 하나입니다. 웹사이트와 웹 애플리케이션은 우리 일상 속에서 큰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들을 이해하고 개발하는 능력은 다양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웹 프로그래밍의 기초적인 개념과 동작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 웹의 기본 구조
- HTTP 프로토콜 이해
- 웹 페이지의 구성 요소
- 웹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 결론
1. 웹의 기본 구조
웹 프로그래밍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웹이 어떻게 구성되고 동작하는지 알아야 합니다. 웹은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를 기반으로 합니다.
- 클라이언트 (Client):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페이지에 접근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브라우저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로부터 응답을 받아 사용자가 볼 수 있는 형태로 렌더링 합니다.
- 서버 (Server):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적절한 응답을 보내주는 컴퓨터 시스템입니다.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있거나, 정적 파일을 클라이언트에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클라이언트는 HTTP 요청을 서버로 보내며, 서버는 이에 대한 HTTP 응답을 클라이언트로 반환합니다.
2. HTTP 프로토콜 이해
HTTP(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프로토콜입니다. HTTP 메시지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보내는 요청 메시지와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보내는 응답 메시지로 2가지입니다. 그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는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으로 구성되며, 주로 다음과 같은 요청 메서드가 사용됩니다:
- GET: 서버에서 데이터를 요청합니다. 웹 페이지를 불러올 때 주로 사용됩니다.
- POST: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주로 폼 데이터를 제출할 때 사용됩니다.
- PUT: 서버에 데이터를 업데이트합니다.
- DELETE: 서버에서 데이터를 삭제합니다.
3. 웹 페이지의 구성 요소
웹 페이지는 보통 세 가지 주요 기술로 구성됩니다:
-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웹 페이지의 구조를 정의합니다. HTML은 콘텐츠의 제목, 본문, 이미지, 링크 등의 요소를 정의하는 데 사용됩니다.
- CSS (Cascading Style Sheets): 웹 페이지의 스타일을 지정합니다. CSS는 레이아웃, 색상, 글꼴 스타일 등을 설정하여 HTML 콘텐츠를 시각적으로 아름답게 만듭니다.
- JavaScript: 웹 페이지에 동적인 기능을 추가합니다. JavaScript는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요소를 만들거나, 서버와의 비동기 통신을 처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4. 웹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대부분의 웹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됩니다. 웹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가져와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거나, 클라이언트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합니다. 대표적인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으로는 MySQL, PostgreSQL, MongoDB 등이 있습니다.
웹 서버는 보통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합니다:
1) 요청 처리: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청을 처리합니다.
2) 데이터베이스 연동: 필요시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읽고, 쓰고, 수정합니다.
3) 응답 생성: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데이터를 HTML, JSON 등의 형식으로 제공하여 응답합니다.
5.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웹 프로그래밍은 크게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로 나뉩니다.
- 프론트엔드(Frontend): 사용자가 직접 보는 웹 페이지의 UI(User Interface) 부분을 담당합니다. HTML, CSS, JavaScript를 이용하여 웹 페이지의 구조, 스타일, 동작을 구현합니다.
- 백엔드(Backend): 웹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서버 로직을 다루는 부분입니다. 서버에서 클라이언트 요청을 처리하고,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며, 필요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게 반환합니다. 주요 백엔드 언어로는 Python, Ruby, Java, PHP 등이 있으며, Node.js도 많이 사용됩니다.
6.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웹 클라이언트(보통은 웹 브라우저)의 요청을 받아서 처리하는 서버를 통칭하여 웹 서버라고 부릅니다. 웹 서버는 좀 더 세분화할 수 있습니다. 이를 분류하면 웹 서버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나뉩니다.
- 웹 서버(Web server): 웹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서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웹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합니다. 주로 정적페이지인 HTML, 이미지, CSS 등의 파일을 웹 클라이언트에 제공할 때 웹 서버를 사용합니다. 만약 동적 페이지 처리가 필요하다면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처리를 넘깁니다.
-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웹 서버로부터 동적 페이지 요청을 받아서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웹 서버로 반환합니다. 주로 동적 페이지 생성을 위한 프로그램 실행과 데이터베이스 연동 기능을 처리합니다.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방식은 웹 서버가 직접 프로그램을 호출하는 것이 아닌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웹 서버와 웹 애플리케이션은 각자의 역할이 더 전문화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웹 서버는 정적 페이지를 웹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것이 주 역할이지만, 이 외에도 캐시 기능, 프록시 기능 등의 추가적 기능을 제공합니다.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웹 서버보다 더 많은 기능이 추가되고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unicorn, uWSGI 등이 있습니다.
결론
웹 프로그래밍은 복잡하지만 매력적인 분야입니다. 기본적인 웹의 구조와 HTTP 프로토콜, HTML/CSS/JavaScript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만으로도 웹 개발의 기초를 다질 수 있습니다. 이후에는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기술을 배우고, 실습을 통해 경험을 쌓아 나가며 자신만의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 볼 수 있습니다.
웹 프로그래밍의 세계는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기초 개념을 탄탄히 하고 꾸준히 학습해 나간다면, 웹 개발자로서 성장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부탁드리겠습니다. 여러분의 공감이 정말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Django' 카테고리의 다른 글
[Django] DB와 관리자 페이지 - 투표 앱 만들기(Django tutorial) (4) | 2024.10.29 |
---|---|
[Django] 시작하기 - 투표 앱 만들기(Django tutorial) (0) | 2024.10.25 |
[Django] 프로젝트 구조 - 장고 기본 요소들에 대한 이해 (1) | 2024.09.13 |
[Django] MTV 패턴 - Django 아키텍처 및 구조 (1) | 2024.09.12 |
[Django] 웹 개발 첫걸음 - Django 설치하는 방법 (0) | 2024.09.11 |